▷♣秀技 신점숙작가 흔들리지도부러지지도않을용기/ChatGPT세상
📘 GPT칼럼 #2 GPT는 어떻게 학습할까?– AI가 생각을 배우는 방식, Transformer 이야기
신점숙작가
2025. 6. 11. 09:29
“이 AI는 대체 뭘 배운 거야?”
ChatGPT랑 대화하다 보면, 종종 사람이랑 비슷하게 대답해서 놀랄 때가 있다.
그런데 정말 궁금하지 않은가?
GPT는 어떻게 글을 배우고, 문장을 이해하고, 말을 이어가는 걸까?
🧠 단어 하나하나가 다 연결된다 – GPT의 뇌 구조
GPT는 ‘Transformer’라는 뇌를 가지고 있다.
이 구조는 한 마디로 말해 “문장에서 모든 단어가 서로를 바라보며 의미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이걸 우리는 Self-Attention (자기-주의) 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문장 “나는 오늘 너를 만나서 기뻐”에서
GPT는 ‘기뻐’라는 단어를 해석할 때 ‘너’, ‘만나서’, ‘오늘’ 같은 앞의 단어들을 동시에 보고 판단한다. 이게 바로 Transformer의 핵심 매력!
🧩 학습은 어떻게 하냐고?
GPT는 사람이 쓴 수백억 개의 문장을 통째로 학습했다.
책, 기사, 블로그, 소설, 코드, 심지어 시와 노래 가사까지.
그리고 각 문장에서 "다음 단어가 뭘까?"를 끊임없이 예측하는 훈련을 한다.
예시:
“나는 오늘 아침에 따뜻한 [ ]를 마셨다.”
→ GPT는 ‘커피’, ‘차’, ‘물’ 등을 확률적으로 예측해내는 훈련을 반복한다.
⚙️ 중요한 건 ‘답’을 외운 게 아니라 ‘패턴’을 배운 것
GPT는 ‘정답’을 외우지 않는다.
대신 수많은 문장에서 언어의 흐름과 패턴을 통계적으로 학습한다.
그래서 새로운 질문을 받았을 때도,
배운 패턴에 따라 가장 그럴듯한 문장을 실시간으로 만들어내는 거다.
🧭 GPT는 인간처럼 ‘생각’하는 걸까?
GPT는 인간처럼 ‘의도’나 ‘감정’을 가지고 있진 않는다.
하지만 인간 언어의 패턴을 너무나 잘 흉내 내기 때문에,
우리는 종종 그것이 감정을 가진 것처럼 느낀다.
이제 당신도 알게 되었을 거다.
GPT는 기억하는 존재가 아니라, 예측하는 존재라는 것.
#GPT의 작동 원리 딥러닝과 #트랜스포머 구조 #Self-Attention 토큰, 임베딩 개념#학습 방식 (확률 예측 기반) #사전학습 vs 파인튜닝 #GPT는 어떻게 ‘생각’처럼 보이게 하나?
✨ 다음 칼럼 예고:
“ChatGPT에게는 ‘기억’이 있을까?” – 나랑 대화한 거, 얘는 기억하고 있는 걸까?”
세계여행가 리토끼GPT 작가 신점숙
https://www.youtube.com/@juomsook21 - 비나리투어 신점숙작가 세계여행
https://www.youtube.com/@리토끼TV - 리토끼TV(노래하는 토끼 동요)
https://blog.naver.com/juomsook21 - 네이버블로그(여행안내48년)
『흔들리지도 부러지지도 않을 용기』저자 신점숙 작가 한복 입고 세계여행 10년
여러분은 한복 입고 여행하시는 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집 문을 나서는 순간 여행이라고 했습니다.
여행은 자신을 발견하고 자신에게 희망으로 안내하는 문이 될 수 있습니다.
📌특별한 맞춤여행 전문!
꿈은 협상의 대상이 아닙니다.
당신의 꿈을 포기하는데 결코 동의하지 말아야 합니다.
꿈은 기다리는 게 아니라 만들어가는 것입니다.
꿈에게도 기회를 주자!
📢 여행 안내 48년 비나리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