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돔구장건립 찬반논쟁 "최고조"

신점숙작가 2009. 6. 12. 10:35

 

6월 안산시의회 정례회가 분구령

안산시, "돔구장건립 문제 해법 찾았다"

반대대책위, "끝장토론, 주민투표 추진"

 

 

돔구장 건립문제가 1차 관문인 이번 6월 말 안산시의회 정례회를 앞두고 찬반양론이 팽팽한 가운데 논쟁이 정점을 행해 달려가고 있다.

사업을 계획하고 있는 안산시는 최근 한국야구위원회 및 전문가들과 방문단을 구성 일본의 여러 돔구장을 방문하는 등 사업에 보다 확신을 치밀하게 사업계획을 마련하는 등 한층 고무돼 있는 분위기인 반면 안산지역 시민단체들과 야권의 지역 정당 등은 반대대책위를 구성하고 토론회를 여는가 하면 찬반 양측이 함께 참여하는 '끝장토론회', '주민투표에 의한 결정' 등을 주장하고 있다.

 

<안산시 입장>

안산시는 지난 5월 31일부터 6월 5일까지 5박6일 일정으로 조희준 한국야구위원회(KBO) 국제협력사업본부 부본부장, 김종 한양대 스포츠산업학과 교수, 시 관계자 등10명으로 구성된 시찰단이 일본의 삿뽀로돔과 도쿄돔, 나고야돔 등을 시찰하고 돌아와 그동안 문제점으로 지적됐던 운영비 등에 대한 해법을 찾았다고 밝혔다.

이번 시찰단의 관계자들은 연수보고회에서 벤치마킹한 3개 돔구장은 건립배경과 구장의 위치 규모와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었고 시사하는 점도 구장마다 다르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또한 돔구장은 단순히 야구를 하기위한 돔구장을 건설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도시브랜드를 재구축하는 대규모 디벨로핑 사업의 개념에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또 안산문화복합돔구장이 성공적으로 건립되고 운영비를 최소화하는 등 경영의 안정과 돔구장이 도시발전의 차원에서 공헌하기 위해서는 안산이 가지고 있는 도시브랜드와 지리적 강․약점을 면밀히 분석해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첨단 유비쿼터스 및 태양광 설비 기능을 도입한 스마트 돔을 건설할 경우 충분히 사업성이 확보되는 좋은 시설을 건설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추진하기위해서는 범시민 돔구장 건립추진위원회와 최고의 팀으로 구성된 각계의 자문그룹 및 전문가 집단과 시청 내에 강력한 태스크포스팀(TF팀) 구성을 통해 구체적인 건설재원마련 계획에서부터 시설의 내용, 사업성의 면밀한 분석, 건립된 시설이 야구장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공연이벤트, 박람회, 전시회, 대형콘서트의 개최, 국제규모의 마라톤 개최, 대학스포츠의 산실로서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투기종목, 레슬링, 배드민턴, 구기종목 등 실내에서 할 수 있는 대부분의 경기가 계절에 관계없이 전천후로 가능한 다목적용 구장으로 건설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대대책위 입장>

대책위는 안산시가 문화복합돔구장 건립을 장밋빛 꿈을 갑고 충분한 타당성 검토 없이 급속하게 추진하고 있으며 돔구장 건립이 안산지역의 미래에 어떤 영행을 미칠지, 향후 운영관리 측면에서 안산시의 역량에 합당한지, 그밖에도 주상복합단지 개발의 문제점과 입지상의 문제점 등이 잔존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특히 안산시가 제시하고 있는 돔구장 추진 명분, 즉 WBC 및 프로구단 유치가 불분명해 자칫 5천억원의 돔구장이 콘크리트 흉물로 잔락할 우려가 있고, 매년 200~300억 규모의 막대한 유지관리비에 대한 해결대책이 미흡해 안산시민 및 후손들에게 엄청난 재정적 부담을 초래할 수 있으며 돔구장 건립 대가로 소수 특권층을 위한 59층 주상복합을 건립하는 것은 공공용지의 공공성과 형평성에 적합하지 않다는 점 등에서 안산시가 보다 분명하고 객관적이며 신뢰 가능한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대책위는 이와관련 지난 8일 안산YMCA 강당에서 안산시 문화복합돔구장 건립 타당성 검토를 위한 1차 토론회를 개최했으며 앞으로 시의회에서의 부결운동, 주민투표운동 등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돔구장 건립을 분수령이 될 이달 하순께 개최되는 안산시의회 정례회에서 안산시가 돔구장 건립에 대해 그 타당성을 어떻게 입증하게 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사진 : 돔구장 건립 논쟁이 뜨거운 가운데 안산시와 한국야구위원회 및 대학교수 등 관계전문가들은 일본의 돔구장을 방문, 운영실태 등에 대해 벤치마킹했다. 사진은 일본의 한 돔구장

 

 

기사제공 : 안산시민신문

더 많은 정보, 기사는 안산시민신문사 홈페이지로 들어가 보세요

안산시민신문 홈페이지 바로가기 : http://www.ansansi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