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전체가 진귀한 보물들로 가득한 도시섬..타이완! 대만!
타이완(은 동중국해(東中國海)에 있는 섬이다.
면적은 35,195 km²로, 시간대는 UTC + 8:00 시간이다. 별칭은 포르모자(Formosa)이다.
인구는 약 2300만 명이다. 2012년 1월 1일이 (중화민국) 건국 100주년을 맞는 날 이다.

위치 및 지형
타이완은 타이완 지구 최대의 섬이고, 일본 류큐 제도와 중국 대륙, 필리핀의 가운데에 위치한 교통 요지이다.
타이완에서 류큐 제도까지의 거리는 약 75 km, 중국 대륙까지는 약 150 km, 필리핀까지는 약 300 km다.
타이완의 지형은 산이 많아, 전체 면적의 64%가 산지(山地)이다.
타이완 산맥(臺灣山脈, 대만산맥)이 섬의 동부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며, 봉우리들의 평균 고도는 3000m를 넘는다.
섬에서 가장 높은 위 산(玉山, 옥산)은 표고가 3997m에 이른다. 산맥의 동쪽은 평야부가 적고,
태평양 연안에서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솟는 절벽이 계속된다.
그에 비해 서쪽은 비옥한 평야가 완만하게 타이완 해협을 향해 펼쳐져 있다.
대부분의 강이 타이완 산맥에서 발원하고 있어 모두 짧고 험난하다. 주요 하천은 서부에 집중되어 있으며,
가장 긴 하천은 중부를 흐르는 줘수이강(濁水溪 탁수계, 167km)이다.

기후와 천연자원
타이완의 기후는 섬의 남부를 지나는 북회귀선을 기준으로 북부는 온난 습윤 기후, 남부는 사바나 기후로 구분된다.
섬 전체의 연평균 기온은 23 °C로 온난하다. 여름은 5월부터 9월까지로 평균 기온은 28 °C이나,
겨울은 12월부터 2월까지로 짧고 매우 따뜻하여 북부에서도 평균 기온은 10 °C를 넘는다.
높고 험한 타이완 산맥과 계절풍은 타이완의 기후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타이완 북동부에 있는 지룽(基隆) 및 이란(宜蘭)의 다우(多雨)와 섬 남서부의 건조기후는 이러한 요인에 의한 것이다.
섬 전체의 연간 강수량은 2540 mm로, 평지보다 산지가, 서해안보다 동해안 쪽이 많다.
또 6월부터 10월에는 태풍이 많이 거쳐가 매년 큰 피해를 가져오고 있다.
타이완의 가장 중요한 천연자원은 따뜻한 기후로 생성된 비옥한 풍토라 할 수 있다.
광물자원으로는 석탄, 대리석, 유황, 원유(原油), 천연가스 등이 산출된다

식생과 동물
타이완에 분포하는 식물은 3800종이 넘는다. 삼림에 덮인 산은, 고도(高度)에 따라 삼림 형태가 달라지며 다양한 식생이 분포한다.
표고(標高) 0-1980m는 열대와 아열대성의 식생이 나타나고,
1980-3050m는 낙엽수림대(帶)와 침엽수림대(帶)의 혼합 지대, 3050m이상은 침엽수림이다.
근래에는 고산 기후를 이용한 고랭지 야채 재배나 과일 재배가 행해지고 있다.
이곳에 서식하는 동물도 여러 종류가 있다. 포유류는 다람쥐과, 사슴, 멧돼지, 타이완곰 등 63종(1996년 시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많은 새(445종), 파충류(80종), 양서류(31종), 곤충을 볼 수 있다.

개요
1912년 1월 1일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멸망하고 중국 역사상 최초로,
또 동아시아 역사상 최초의 공화국으로 성립하여, 1928년 6월 9일 이후로는 중국의 거의 전 지역을 통치하고 있었다.
중국 국민당의 중화민국 정부는 1945년 10월 25일에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승리로 타이완을 손에 넣었다.
1947년 중화민국 헌법이 새로 제정되어 난징 시에 중국 국민당 정부가 재수립되었다.
다만, 중국 국민당의 중화민국 정부는 1949년 10월 1일 중국 공산당을 주축으로 한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국공 내전에서 패배하여 중국 대륙의 영토를 잃고, 타이완 타이베이로 천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일반적으로 1949년 이전의 중화민국은 “중화민국”, 타이완 후퇴 이후의 중화민국을 “중화민국 (타이완)”으로 따로 구별하기도 한다.
타이완으로 후퇴한 이후 한동안 중화민국은 “중국의 정통 정부”를 자처하면서 중화인민공화국을 정식 국가로 인정하지 않았다.

서방 국가들은 중화인민공화국 대신 중화민국을 중국을 대표하는 국가로 인정했다.
그러나 1971년 UN에 의해 승인이 취소되고 1979년 최대 우방국이었던 미국도 중화인민공화국과
국교를 수립함으로써 이후 세계적으로 중국의 정통 정부로 승인되지 않는 미승인 국가와
같은 상황에 빠지게 되어 대외적으로는 정식 국명이 통용될 기회가 한정되어 있다.
(중화민국의 정치와 차이니스 타이베이를 참고.)
현재 이 나라를 승인(중국의 정통 정부로서)하는 나라는 겨우 23개국에 불과하다.
국제 사회에서는 차이니스 타이베이(Chinese Taipei, 中華臺北 또는 中華台北)라고 하는 명칭으로 더 잘 알려졌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타이완 지역을 중국의 23개의 성(省) 중 하나로 보고 있으며,
따라서 중화민국을 정식 국가로 인정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중화민국 정부를 “타이완 정권”이라고 한다.

타이완 섬의 역사
'타이완의 역사(臺灣史)가 문헌상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1624년 네덜란드 상인들이 타이완 섬(臺灣島)에 진출하여 점거하면서 부터이다. 물론, 그 이전 시기에도 타이완 원주민들이 정주, 생활하여 왔다. 다만, 한족(漢族)이 본격적으로 타이완에 이주한 것은 유럽인들이 타이완 섬을 점거하면서 시작되었고, 그 이전까지 타이완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원주민(原主民)들의 섬이었다. 따라서, 타이완의 역사는 크게 16세기 이전 시기, 네덜란드 식민지 시기, 정씨 왕조 시기, 청나라 시기, 일본제국 식민지 시기, 중화민국 시기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다.

타이베이 정부시기의 연혁
전쟁에서 패배하여 타이베이로 피난한 국민당은 공산당과의 전쟁을 이유로 타이완 전역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군사 독재를 실시한다.
타이완 정부는 미국과의 경제 협정을 통해 30년간 비약적인 경제 성장을 이룩하였다.
그러나 냉전 체제의 종식과 함께 미국을 위시한 자본주의 국가들이 중화인민공화국을 승인함으로써
중화민국은 점차 외교적으로 고립되기 시작했다.
국제무대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영향력이 급속히 증대되면서 대륙 수복이 사실상 불가능해지자
분리 독립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생겨나면서, 중화민국의 정치 무대는 대륙 수복을 추구하는 세력과 독립을 추구하는
세력으로 양분된 상태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반국가분열법을 통해 타이완이 독립을 선언하면
무력 침공도 불사하겠다는 강경한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1992년부터 타이완은 양안 컨센서스(92共識)에 따라, 3불(三不)정책(不統, 不獨, 不武. 통일이나
독립을 추구하지 않으며 무력을 사용하지도 않는다는 원칙)을 고수 하고 있다.
현재에는 중국 본토 (홍콩) 출신인 중국 국민당 소속 마잉주(馬英九: 마영구)
총통의 당선으로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가 많이 좋아지고 있으며,
대륙 수복을 추구하는 세력의 많은 지지를 얻고 있다. 하지만,
타이완의 독립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마잉주 정부의 이러한 정책에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2011년에 건국 100주년을 맞았다. 대졸자 초봉은 2010년 현재 약 27만타이완달러이다

국공 내전
중일 전쟁에서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은 일본 제국에 맞서 함께 싸웠다.
일본 제국의 패망 후 양 당은 공동의 적을 잃었기 때문에 양 당 사이의 내전 가능성이 계속 제기되었다.
하지만 양 당은 미국, 소비에트 연방의 중재로 쌍십협정(雙十協定)을 맺음으로써 화해하는 듯 했다.
하지만 미국은 중국의 내정에 중립을 표방한다고 하면서 실제로는
중화민국 정부와 중국 국민당을 지원했으며 소비에트 연방 또한 국민당을 지원하고
공산당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협정을 국민 정부와 체결하면서도 비밀리에 중국 공산당을 지원하였다.
결국 국민당은 미국의 지원을 등에 업고 난징 시에서 공산당을 배제한 채 1947년 정부를 재수립했으며
공산당이 이에 반발하면서 중국 곳곳에서 무력 충돌이 일어났다.
국민당은 결국 공산당에 대한 총공격을 감행하였지만 공산당의 끈질긴 노력과 국민당에 등을 돌린 중국 인민의 민심,
전략의 실패, 그리고 경제 정책의 실패 등 여러가지 악재로 인해
중국 대륙을 공산당과 중화인민공화국에게 내주고 타이완으로 망명한다.

국명
중국어 정식 명칭은 중화민국(中華民國)이며, 자국 내에서는 중화민국을 중화(中華)나 중국(中國)이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또 공식 영어 표기는 Republic of China로, 약칭은 ROC이다.
다만, 이 명칭은 중화민국이 1912년의 건국 이래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정통 정부'라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1971년에 유엔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의 정통 정부로서 승인된 이후로는
국제 사회에서 중화민국을 정식 명칭으로 부르는 일이 줄어들었다. 그래서 현재는
중화민국의 실질 통치 지역 중에서 중심 지역인 타이완(대만, Taiwan)이라 부르는 일이 많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하나의 중국 정책에 따라 타이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므로,
중화민국은 이 두 명칭을 대신하여 차이니스 타이베이(Chinese Taipei, 中華臺北 또는 中華台北)라고 하는
명칭을 올림픽(1980년 대회 이후. 중화민국이 1980년 동, 하계 올림픽에 불참하였기 때문에 사실상 1984년 대회 이후)
등의 스포츠 대회나 각종 국제기구에서 사용하고 있다. 덧붙여, 세계 무역 기구(WTO)에서의
중화민국의 가맹 명칭은 공식적으로는 타이완·펑후·진먼·마쭈
개별관세영역이며, '차이니스 타이베이(Chinese Taipei)'를 그것의 약칭(略稱)으로 사용하고 있다.
2008년 6월 4일 어우훙롄(毆鴻煉) 중화민국 외교부장은 국제 외교활동에서 타이완(Taiwan)이라는 명칭 대신에
'차이니스 타이베이(Chinese Taipei, 中華臺北)'라는 명칭을 사용할 방침인 것으로 밝혔다.
이는 중화민국의 독립을 추구해 온 천수이볜 정부와는 다르게 중화인민공화국과
통일을 지향하는 마잉주(馬英九) 총통이 취임 전에 주장하던 말들과도 일치되는 내용이다.

행정 구역
1949년 이후로 중화민국 정부는 자국의 영토를 크게 타이완 지구와 대륙 지구로 구분하고 있다.
타이완 지구에는 중화민국 정부의 실효 통치 지역인 타이완 섬과 펑후, 진먼, 마쭈 등의 섬들이 포함된다.
대륙 지구에는 중화민국 정부의 실효 통치 지역이 아니지만 중화민국의 영토로 간주되는 중국 대륙,
몽골, 투바 공화국 등이 포함된다.

군사
중화민국 헌법 제 20조의 규정에 의해 중화민국에서는 징병제를 실시하고 있으므로,
만 19세 이상의 남자에게는 12개월간의 병역 의무가 주어져왔으나, 2010년부터 모병제 전환을 시작하였다.
국군인 중화민국 국군은 정규군 약 30만 명, 예비역으로 약 165만 명의 병력을 포함하며,
정규군은 육군 20만 명, 해군 4만 5,000명, 공군 4만 5,00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기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침공을 대비해 수는 적으나 CM11 전차나 F-16 다목적전투기, UH-60 블랙 호크,
패트리어트 요격시미사일 등 최신 무기로 무장해있다.

타이완 지구
중화민국은 국내를 성(省)과 직할시(直轄市)로 구분하여 각각 지방 정부를 두고 있다.
다만 1949년 이후 중앙정부의 통치 구역과 타이완 성 정부의 통치 구역이 거의 겹치게 되었기 때문에 성
정부의 기능은 사실상 폐지되었다. 현재도 성 정부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중앙 정부가 직접 현(縣)을 관할한다.

그 외에 종교적 또는 개인의 비폭력주의 신념에 따라 병역을 거부하는 양심적 병역거부는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심사를 거쳐서 허용하고 있으며, 현재 중화민국 정부에서는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에 대해
양로원등의 사회 복지 시설에서의 사회 봉사로 군복무를 대체하도록 하되, 합숙 생활을 하도록 하고 있다.
정부를 타이완으로 이전한 이래,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군사적 대립으로 인하여 중화민국 국군
최신예 개인 화기, 군용기, 군용선 등을 운용하고 있으며, 2008년도의 국방 예산은 GDP의 약 2.5%에 상당하는
105억 미국 달러에 이른다. 다만 최근에는 국방 관계 예산의 삭감이 이루어져서 정부는 특별 예산을 짜는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중화민국 국군의 가장 중요한 군사기지는 중국 연안의 진마 지구 진먼 섬이다.
미국과의 단교 이후 미국과의 상호방위조약이 폐기되고 타이완 주둔 미군이 철수했지만,
미국은 첨단 무기를 판매하고 군사훈련에 미군을 참관시키는 등 군사협력관계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지리
현재 중화민국의 실효 통치 지역은 타이완 지구, 진마 지구, 둥사 군도, 난사 군도의 타이핑 섬이다.
동쪽으로는 일본, 북쪽과 서쪽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 남쪽으로는 필리핀과 접한다.
진마 지구의 섬들은 중국 대륙 해안에 위치한다. 둥사 군도와 난사 군도의 타이핑 섬은 남중국해에 위치하며,
모두 무인도이다.
타이완 섬의 대부분은 산지이며, 서해안의 평지에 인구가 밀집되어 있다.
가장 높은 산은 타이완 섬 중앙부에 위치한 위 산(玉山)으로, 높이는 3,952 m이다.
이 부분의 본문은 중화민국의 강역입니다.

중화민국은 1912년에 멸망한 청나라의 공식 영역을 자국의 국토로 규정하고 있으며, 총 면적은 11,418,174㎢이다.
그에 반해,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영토의 면적은 9,596,960㎢이다.
중화민국은 공식적으로는 대륙 지구를 포함한 국토 전역에 대한 통치권을 포기하지 않고 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이 외국과 체결한 모든 국경획정조약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중화민국의 양대 정치세력인 국민당과 민진당이 각각 평화통일과 타이완의 독립국가화를 주장하고 있어서 큰 의미는 없다.
중화민국 정부는 1991년 5월 1일 헌법을 개정해 정부 실효 통치 국토를 "자유 지구"라고 이름 붙이고,
헌법의 적용 지역을 "자유 지구"로 한정하고 있다. 그 중 행정구역상 푸젠 성에 속하는 진먼 현과 마쭈 열도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육지와 매우 가까이 붙어있어 여전히 군사적 긴장감이 높고, 고도로 요새화된 지역이다.

교통
중화민국의 교통 행정은 중화민국 교통부가 담당하고 있다. 중화민국의 교통은 동서는 중앙산맥으로,
남북은 하천에 의하여 방해받고 있다. 육상 운송 수단으로는 도로망이 특히 발달하였다.
타이완 섬 동해안의 쑤화공로(蘇花公路), 서해안의 중산고속공로(中山高速公路),
섬을 횡단하는 동서횡관공로(東西橫貫公路)나 남부횡관공로(南部橫貫公路) 등 간선도로가 잘 정비되어,
총연장 거리는 38,197㎞ (2005년)에 이른다. 그 중 국립 고속도로가 901㎞, 지방 고속도로가 4,680㎞이다.

고속도로는 20,947 ㎞ (프리웨이 872㎞ 포함)이며, 도심 도로는 16,395 km이다.
철도로는 지룽을 기점으로 하는 동부간선(東部幹線)이나 타이베이를 기점으로 하는
서부간선(西部幹線) 등이 타이완 섬의 해안선을 일주한다. 주로 물자 수송에 이용되고 있다.
2007년 타이완 고속철도가 개통되어 또 다른 변화가 기대되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공사 시작 후의 대책 없는 궤간 변경 등의 작업, 해외 수주 경험이 전혀 없는
신칸센을 모티브로 한 것 등은 큰 논란 거리가 되었다[출처 필요].) 버스 노선 또한 발달하였다.
철도의 총 길이는 1,496㎞ (2003년) 이고 철도 밀도는 415㎞/10,000㎢로서, 이웃한 대한민국보다 1.34배 높다.
자동차 보유율도 높아 평균 30명당 1대 정도이다. 잘 정비된 버스운행체계를 가지고 있다.

주요 항구는 지룽 시, 화롄 시, 가오슝 시, 타이중 시 등이 있으며,
특히 가오슝은 국제 무역항으로서 타이완 지구 최대 규모의 항구인 동시에 동부 아시아에서
가장 분주한 항구 중 하나이다. 국제 공항은 타이베이 시 근교의 타이완 타오위안 국
제공항과 가오슝 시의 가오슝 국제공항이 있다. 타이완 지구 최대의 항공사인 중화항공은 국내선과 국제선에 취항하고 있다.
종래는 국내선 뿐이었던 에바항공도 최근에는 국제선에 취항하고 있다.

통신
휴대전화의 보급율은 세계적인 수준이다. 또 일간지는 약 30지(紙)가 있으며,
주요 신문으로는 타이베이 시에서 발행되고 있는 "중국시보"(中國時報), "연합보"(聯合報),
"자유시보"(自由時報), 가오슝 시에서 발행되고 있는 "타이완신문보"(臺灣新聞報),
타이중 시에서 발행되고 있는 "타이완일보"(臺灣日報) 등이 있다.




























http://cafe.daum.net/sjs2030 - 타이완 / 대만 / 야루해양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