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여행가 신점숙작가
눈물을 흘리면 왜 시원할까요? 본문
눈물을 흘리면 왜 시원할까요?
눈물은 눈의 바깥쪽 위에 있는 눈물샘에서 만들어져 눈을 깜박거릴 때마다 눈꺼풀에 묻어 눈을 씻으면서 안쪽으로 움직인다.
하루에 약 20방울 정도 만들어지고 눈을 씻어낸 찌꺼기가 눈꼽이다. 눈의 양쪽 아래를 젖혀보면 눈물이 빠져 나가는 구멍이 있다. 이 구멍을 통해 눈물샘에서 나온 눈물은 코 안으로 빠져서 콧물과 섞인다.
나이가 들면 눈물의 양은 오히려 줄어드나 이 구멍이 좁아져서 눈물이 잘 빠지지 않아 노인네들은 손수건으로 자주 눈물을 찍어내게 된다. 생후 6주 이내에는 눈물이 만들어지지 않아서 신생아는 눈물없이 운다.
이런 눈물에 관련된 기사가 북한 노동신문 최근호에서 살펴볼 수 있다. '눈물을 참으면 다른 질병에 걸리기 쉽다'는 사실이 최근에 보도되었다. 특히 사람은 눈물을 흘릴 때 몸 안에 축척된 우울증을 일으키는 물질도 함께 몸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심리적 압박감이 적어지고 마음이 안정된다.
그렇기에 단순이 자극을 받아 나오는 눈물과 슬퍼서 울 때의 눈물은 성분이 다르다. 슬퍼서 울 때의 눈물 속에는 프롤락틴과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이 들어있으며 이 호르몬은 눈물과 함께 제거함으로써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적 압박감을 해소한다.
실컷 울고 나면 시원해지는 이유가 여기 있다. 요즘 같은 세상 정말 울고 싶은 일도 많은데 그렇다면 한번 실컷 울어서 스트레스라도 좀 풀어볼까 하는 생각도 든다.
눈물은 눈의 바깥쪽 위에 있는 눈물샘에서 만들어져 눈을 깜박거릴 때마다 눈꺼풀에 묻어 눈을 씻으면서 안쪽으로 움직인다.
하루에 약 20방울 정도 만들어지고 눈을 씻어낸 찌꺼기가 눈꼽이다. 눈의 양쪽 아래를 젖혀보면 눈물이 빠져 나가는 구멍이 있다. 이 구멍을 통해 눈물샘에서 나온 눈물은 코 안으로 빠져서 콧물과 섞인다.
나이가 들면 눈물의 양은 오히려 줄어드나 이 구멍이 좁아져서 눈물이 잘 빠지지 않아 노인네들은 손수건으로 자주 눈물을 찍어내게 된다. 생후 6주 이내에는 눈물이 만들어지지 않아서 신생아는 눈물없이 운다.
이런 눈물에 관련된 기사가 북한 노동신문 최근호에서 살펴볼 수 있다. '눈물을 참으면 다른 질병에 걸리기 쉽다'는 사실이 최근에 보도되었다. 특히 사람은 눈물을 흘릴 때 몸 안에 축척된 우울증을 일으키는 물질도 함께 몸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심리적 압박감이 적어지고 마음이 안정된다.
그렇기에 단순이 자극을 받아 나오는 눈물과 슬퍼서 울 때의 눈물은 성분이 다르다. 슬퍼서 울 때의 눈물 속에는 프롤락틴과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이 들어있으며 이 호르몬은 눈물과 함께 제거함으로써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적 압박감을 해소한다.
실컷 울고 나면 시원해지는 이유가 여기 있다. 요즘 같은 세상 정말 울고 싶은 일도 많은데 그렇다면 한번 실컷 울어서 스트레스라도 좀 풀어볼까 하는 생각도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