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세계여행가 신점숙작가

베트남 깟바 사파 - 보우시스템 베트남여행, 본문

▷♣[희정의여행이야기]/동남아*이야기

베트남 깟바 사파 - 보우시스템 베트남여행,

신점숙작가 2013. 1. 29. 01:35

 

 

 

(주)보우시스템 베트남 문화탐방연수 단체사진

베트남에서 한국드림을 꿈꾸며 보우에서 근무하고 있는 성실한 베트남 근로자의 고향

베트남의 북부 깟바.사파를 선정해서 직원 문화탐방연수를 실시했던 보우시스템의 임직원들의

따뜻한 마음이 담겨져 있습니다.

 

멀리 타국에서 힘든일 마다않고 최선을 다해서 일을 하고 있는 직원의 마음을 헤아려 고향길을

갈 수 있게 한 보우시스템의 발전이 보이는것 같습니다.

베트남오지의 멋진 곳을 비나리투어와 함께 다녀 온 사진몇장과 베트남에 대한 정보를 ..

 베트남 : 문화어: 윁남 사회주의공화국, 비엩남, 통용: 베트남(越南), 월남)은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 반도 가장 동쪽에 있는 공산주의국가이다.

북쪽으로는 중국, 서쪽으로는 라오스 및 캄보디아와 국경을 접하고, 동쪽과 남쪽으로는 남중국해에 면해 있다.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나라로 2011년 인구 통계에서는 약 87,840,000명으로 조사되어, 세계에서 13번째로 인구가 많은 나라이다.

 나라의 명칭인 비엣남(Việt Nam 越南 월남)은 1945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오늘날 베트남 북부와 중국 남부를

지배하였던 옛 베트남 왕조인 남월(Nam Việt남비엣 南越 )의 명칭을 거꾸로 쓴 것이다.

 

 

수도는 하노이이며, 최대 도시는 호찌민 시이다. 공산주의 국가이지만,

중화인민공화국과 같은 공산 시장경제체제를 가진 명목상 공산주의 국가다.

고대 베트남은 중국의 지배를 받았으나 938년 박당 전투에서 응오 왕조의 시조인 응오꾸옌(베트남어: Ngô Quyền, 吳權)이

오대 십국의 하나인 남한과 싸워 이겨 독립하였다. 독립이후 베트남의 왕조들은 지속적으로 영토를 확장하여

인도차이나 반도의 동안을 따라 남쪽으로 국경을 넓혀갔으며,

이러한 영토 확장은 프랑스의 식민지배가 시작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프랑스의 식민지배를 받는 동안 베트남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베트남은 프랑스 식민지배 기간 동안

계속하여 독립운동을 벌였고, 제2차 세계대전 기간에는 일본의 지배를 받기도 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1945년 9월 2일 호치민은 하노이의 바딘 광장에서 베트남의 독립을 선언하고 베트남 민주 공화국의 수립을 선언하였다.그러나,

프랑스는 베트남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았고, 프랑스와 베트남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벌이게 되었다.

1954년 3월 13일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베트남군이 대승을 거두고 프랑스군이 철수를 하면서 베트남은 독립을 맞게 되었다.

 그러나, 서구 열강은 제네바 협정을 통해 베트남을 다시 북위 17도를 기준으로 남북으로 분단시켰고,

약속하였던 전국 선거를 거부한 채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 바오 다이를 왕으로 내세워 베트남국을 수립하였다.

베트남국은 얼마 지나지 않아 응오딘지엠의 쿠데타로 붕괴하고 베트남 공화국이 세워져 남북의 대결이 시작되었다.

미국은 도미노 이론을 내세워 베트남에 개입하였으며 통킹만 사건을 빌미로 베트남 전쟁이 벌어지게 되었다.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미국은 제2차 세게대전에서 사용한 것보다 훨씬 많은 폭탄을 북베트남 지역에 투하하였고

막강한 화력과 인력을 동원하였으나, 베트남의 끈질긴 저항과 명분없는 전쟁을 계속하는 동안 일어난 전 세계와 미국내의

반전 여론에 밀려 결국 1973년 파리 협정을 맺고 철군하였다. 1975년 북베트남은 사이공을 점령하였고,

1976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을 수립하였다.

전쟁 후 베트남은 전후 복구와 사회주의 경제체제를 통한 발전을 도모하였으나, 1979년 크메르 루주와 전쟁을 치렀고,

중화인민공화국과도 국경분쟁으로 중국-베트남 전쟁을 치르는 등 순탄하지 않았다.

1986년 베트남 공산당은 도이 머이를 시작하여 시장 경제를 도입하였고,

2000년에는 대부분의 국가와 수교를 맺었다.

 명칭 : 베트남의 국명 비엣남(Việt Nam 越南)은 베트남 북부에서 중국 남부에 이르렀던 기원전 2세기의 고대 국가 남비엣에서 유래하였다.

비엣(Việt, 越)은 백월(Bách Việt, 百越)족을 뜻하는 말이다. 비엣남이란 낱말이 처음 등장한 것은 16세기 베트남의 시인

응우옌 빈 키엠의 시 삼짱찐(Sấm Trạng Trình, 讖狀程)이다. 이후 비엣남은 점차 베트남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명칭이 되어,

1905년 베트남의 판보이쩌우(Phan Bội Châu, 潘佩珠)와 중국의 량치차오(梁啓超)가 일본의 요코하마에서

월남의 식민지화에 대해 나눈 대담은 《월남망국사》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비엣남은 1945년 프랑스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베트남 민주 공화국이후 공식적인 국명이 되었다.

 

역사 : 베트남에는 구석기 시대이래 인류가 살아왔으며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인도네시아 제도에 이르는 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석기 문화 유적이 많이 발굴되고 있다. 베트남의 건국신화인 락롱꿘, 어우꺼 신화는 약 4,000년전 락롱꾸언(Lạc Long Quân 貉龍君 

용(龍)의 우두머리)과 어우꺼(베트남어: Âu Cơ)가 결혼하여 많은 베트남 부족들의 선조가 태어났다고 말하고 있다.

 

항불전쟁 : 1882년 프랑스의 보호국이 되면서 민족의 독립을 표방하는 반(反)프랑스운동이 맹렬히 추진되었고

프랑스 세력에 대항하기 위한 베트남인의 독립운동은 20세기에 들어와서 활발하게 전개되었는데, 중국·일본 등지에

그들의 독립운동 단체가 만들어졌다. 이 과정에서 호찌민이 주도하는 베트남 공산당이 결성되었다. 공산당은 그 후

각파의 정치세력을 규합하여 비엣민을 설립하고 2차대전의 종결을 맞이했다. 제1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민족자결주의의

영향을 받아 1927년에는 베트남 국민당이, 1930년에는 인도차이나 공산당이 조직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여

일본이 베트남에 침입하자, 많은 민족주의 세력 중 가장 조직력이 뛰어났던

공산주의 계열은 베트남 독립연맹(비엣민)을 결성하였다.

 

 

1945년 8월 전쟁이 끝나자 비엣민을 중심으로 베트남민주공화국이 성립되었다.

그러나 프랑스는 전쟁 전의 지배권을 되찾고자 다시 군대를 파견하였고 이는 호찌민이 지도하는 민족 세력인 비엣민(월맹)과

남북으로 대립하게 된다. 이로 인해 1946년 말부터 양국 사이에는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일어났다.

1954년 3월 13일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베트남군이 대승을 거두고 프랑스군이 철수를 하면서 베트남은 독립을 맞게 되었다.

그러나, 서구 열강은 제네바 협정을 통해 베트남을 다시 북위 17도를 기준으로 남북으로 분단시켰고,

약속하였던 전국 선거를 거부한 채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 바오 다이를 왕으로 내세워 베트남국을 수립하였다.

베트남국은 얼마 지나지 않아 응오딘지엠의 쿠데타로 붕괴하고 베트남 공화국이 세워져 남북의 대결이 시작되었다.

 베트남 전쟁 : 베트남은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으로 분단되었고 1964년부터 1975년까지 베트남은 미국에 맞서서

베트남 전쟁(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치러야 했다. 미국은 도미노 이론을 내세워 베트남에 개입하였으며 통킹만 사건을

빌미로 베트남 전쟁이 벌어지게 되었다.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미국은 제2차 세게대전에서 사용한 것보다 훨씬 많은

폭탄을 북베트남 지역에 투하하였고 막강한 화력과 인력을 동원하였으나, 베트남의 끈질긴 저항과 명분없는

전쟁을 계속하는 동안 일어난 전 세계와 미국내의 반전 여론에 밀려 결국 1973년 파리 협정을 맺고 철군하였다.

1975년 북베트남은 사이공을 점령하였고, 1976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을 수립하였다.

 전후 시대전쟁 후 베트남은 전후 복구와 사회주의 경제체제를 통한 발전을 도모하였으나,

1979년 크메르 루주와 전쟁을 치렀고, 중화인민공화국과도 국경분쟁으로 중국-베트남 전쟁을 치르는 등 순탄하지 않았다.

1986년 베트남 공산당은 도이 머이를 시작하여 시장 경제를 도입하였고,

2000년에는 대부분의 국가와 수교를 맺었다

 호찌민 : 호찌민(호치민. Hồ Chí Minh 胡志明 호지명 듣기 (도움말·정보)), 1890년 5월 19일 ~ 1969년 9월 2일)은

베트남의 공산주의 혁명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이다. 원래 이름은 응우옌신꿍(Nguyễn Sinh Cung 阮生恭 완생공)이며 자(字)는

땃타인(Tất Thành 必成 필성), 호(號)는 아이꾸옥(Ái Quốc 愛國 ), 츄옹(thu Weng 秋翁 )이다.

가명으로는 응우옌 아이꾸옥(Nguyễn Ái Quốc 阮愛國 완애국), 리떠이(Lý Thụy 李瑞 이서) 등을 사용하였다.

베트남 사람들에게는 호 아저씨(Bác Hồ 伯胡 박호)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호찌민이라는 이름은 깨우치는 자라는 뜻을 지녔다.

호치민은 가명과 필명이 160여 개 이상 되었다.

 

호찌민은 베트남 독립 운동의 주요 인물로 베트남 공산당, 베트남 독립연맹 등을 창건하였고,

1945년 베트남 민주 공화국을 선포하고 총리(1946-1955)와 대통령(1955~1969)을 지냈다.

호찌민은 1920년 대 초 사이공에서 프랑스 선적의 배에 선원으로 취직하여 미국을 거쳐 프랑스로 가

유학하던 중 프랑스 공산당에 입당하였다.

1930년에는 중국에서 베트남 공산당(현 베트남 노동당의 전신)을 창건하여 이끌었고,

 제2차 세계대전 중 베트남으로 돌아가 항일 독립 전쟁을 하였다.

 전쟁이 종결된 1945년 9월 2일 프랑스 의 괴뢰로 전락한 응우옌 왕조의 황제 바오다이를 폐위시키고 독립을 선언하였다.

1946년, 프랑스와 독립 협상을 추진하였으나 프랑스가 협상 전에 베트남 남부에 임시 정부를 설치한 뒤 이를 코친차이나

공화국으로 발전시키자 이에 반발, 협상을 결렬시킨 뒤 반프랑스 전쟁을 감행하였다.

1954년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최종 승리하여 프랑스군을 몰아냈다. 그러나 미국,

소련 등이 가담하면서 베트남 전쟁이 벌어지면서

북베트남의 최고 지휘관으로서 전쟁을 지속하였다.

 

호찌민은 베트남 전쟁이 한창이던 1969년 9월 2일 베트남의 통일을 보지 못한 채 심장질환으로 사망하였다.

호찌민은 가장 영향력 있는 20세기 피식민지 국가의 정치지도자의 한 사람이자 저명한 사회주의 지도자 중 한 사람이다.

그는 베트남어뿐만 아니라 영어, 중국어의 여러 방언과 프랑스어를 유창하게 구사하였으며 타이어,

스페인어, 독일어, 러시아어에도 능했다.

 

성장기 : 호찌민은 프랑스가 식민 지배를 하던 시기인 1890년 5월 19일 베트남 북중부 지방의 응에안 성 호앙쭈(Hoàng Trù)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응우옌신삭(Nguyễn Sinh Sắc, 阮生色)은 가난한 유학자였고,

어머니 호앙띠로안(Hoàng Thị Loan)역시 농사를 짓고 서당 훈장도 하였던 유학자의 딸 이었다.

세명의 형제가 있었는데 누나의 이름은 밧리엔(Bạch Liên 白蓮, 후일 응우옌띠탄(Nguyễn Thị Thanh)으로 개명)이었고 프랑스

육군의 사무원으로 일하였다. 형 응우옌신키엠(Nguyễn Sinh Khiêm,

후일 응우옌땃닷(Nguyễn Tất Đạt0으로 개명)은 흙점도 치고 전통 의학으로 진료도 하였다.

 또 다른 형 응우옌신뉘언(Nguyễn Sinh Nhuận)은 어려서 죽었다. 호찌민의 아명은 신꿍(Sinh Cung)이었다.

호찌민은 아버지 밑에서 한자와 유학을 공부하였고, 일상에서 베트남어 구어(口語)를 표기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었던 꾸옥응으도 익혔다.
1900년 8월 아버지가 후에의 말단 공무원이 되었지만, 1901년 2월 어머니가 병으로 사망하였고,

그의 아버지도 관직에서 오래 가지 못하고 얼마 뒤 면직되었다. 호찌민은 가난한 집안형편 때문에 어려움을 격었지만

어려서부터 많은 책을 읽는 습관을 들인 탓에 정식 교육을 거의 받지 못했는데도

역사와 고전에 대한 지식이 해박하였다.

 

호찌민은 베트남인 관리를 양성하는 프랑스-베트남학교에 입학했지만,

재학 중 반프랑스 민족주의적 사상을 가졌다고 하여 퇴학당하였다.

1904년 휴에 있는 프랑스어 문법학교에 입학하여 1908년 봄에 졸업했다.

그 뒤에 판티에트에서 소학교 교사로 부임했으나 월급이 박봉이라서

곧 그만두고 사이공으로 올라가 기술훈련원 견습생이 되었다.

 그 후 1911년 응우옌 바(Nguyễn Ba)라는 가명으로 가명을 프랑스의 6000톤급 증기선(船) 아미랄 라투슈 트레빌 호의 견습 요리사로 승선,

프랑스에 건너갔다. 그러나 곧 그만두고, 선원으로 아프리카의 여러 항구와 프랑스와 알제리,

튀니지, 콩고 등의 프랑스 식민지와 미국, 유럽 제국을 돌았다.

 

 

 

 

 

 

 

 

 

 

 

 

 

 

 

 

 

 

 

 

 

다음편에 계속

 

http://cafe.daum.net/sjs2030   -  비나리투어,국내여행,해외여행,항공권전문